목록코딩 (50)
관심쟁이 영호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은 이전 시간에 확실하게 다루지 못한 채널과 타입에 관해서 다룰 예정이에요! 오늘도 블로그에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타입? 이전에 포스팅에서 "CV_8U"와 같은 문장을 보셨을 건데요! 이것은 타입을 뜻하는 문장입니다! 타입 전체를 표를 통해서 설명드릴게요! 데이터형 설명 CV_8U unsinged char타입 CV_8S signed char타입 CV_16U unsigned short int 타입 CV_16S signed short int 타입 CV_32S int 타입 CV_32F float 타입 CV_64F double 타입 이렇게 볼 수 있어요! 그럼 여기서 CV_8UC1, CV_16UC2 ,CV_32FC3 등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C1, 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EQkE/btqLIHoufn8/ScYCvA0eW32N5Br15IfRfK/img.png)
안녕하세요. 관심 쟁이 영호입니다. 새롭게 OpenCV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대학 전공 공부를 하며 포스팅하는 관계로 업로드가 조금 늦어질 수 도 있겠지만.. 최대한 빨리 올려보겠습니다! OpenCV? OpenCV란 인텔에서 개발되었으며, "컴퓨터 비전"을 목적으로 한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입니다. 현재는 python을 통해서 사용하지만.. C++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더욱 밑단에서 컴퓨터 비전을 다룰 수 있어서 이해만 할 수 있다면 더욱 깊은 곳까지 알 수가 있어요! 본 내용은 c언어나 c++언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이 있는 사람에게 추천을 드립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자료형을 들어가기 앞서서 이해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OpenCV에서는 영상을 행렬로 취급하여 다루게 됩니다. 유튜브 영상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k9Wn/btqCjRmGJXB/x6uttJOckDNSzvCLUd6a10/img.jpg)
안녕하세요. 최고왕입니다. 다들 잘 지내고 계신가요~? 글을 쓰는 현재로써는 전염병 때문에 난리도 아닙니다 ㅠㅜ 다들 손 자주 씻으시고 조심해요!! 오늘은 이전 시간에 배웠던 포인터를 실제로 사용해보는 시간을 가질 거예요! 혹시나 이전 포스팅을 못 보신 분들은 보고 오시기를 추천드릴게요! 이 전에 공부했던 포인터를 다시 한번 이론만 보시죠. Pointer? 데이터 구조의 항목 A가 다른 항목 B의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을 때 A를 B의 포인터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그럼 바로 코딩을 해볼게요. 설명 int형의 변수 a를 선언하고 10을 초기화해주었습니다. ptr이라는 포인터 변수를 선언하고 a변수의 주 솟값을 초기화해주었습니다. 이것을 그림으로 보기 좋게 도식화해드릴게요! 메모리는 이렇게 표현되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5fbj/btqCd1CXQaN/IjO4pleayBkhe7OtiBKt21/img.jpg)
안녕하세요. 최고왕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한국 전역에 퍼져버렸네요.. 정말 큰일이에요ㅠ 제발 잘 풀려서 모든 사람들이 웃고 다니던 그때로 빨리 돌아가고 싶어요.. 오늘은 포인터에 대해서 공부를 할 겁니다! 포인터는 C언어의 최대 무기이자 최고의 장점이에요! 포인터가 무엇일까? 데이터 구조의 항목 A가 다른 항목 B의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을 때 A를 B의 포인터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이렇게 설명하네요! 최고왕이 조금 더 풀어쓰자면 포인터는 변수가 저장되어있는 메모리 상의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해요! 그쪽 포인트를 찍어 표현한다는 뜻이라고 생각하면 될 거 같아요! 먼저 a라는 변수에 100이라는 정수를 초기화해주었어요. 이것을 시각화해보자면! 그럼 컴퓨터는 메모리상에 변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kmxs/btqCaTL0Dyq/NUozKhlpGdiicVR8MoO2k1/img.png)
안녕하세요! 최고왕입니다. 요새 앉는 자세가 꾸부정해서 그런지 몸 여기저기가 쑤시네요 ㅠ 그래서 바른자세로 유지하려고 노력 중이에요! 여러분들도 만약 쑤신다면 바른 자세 준비를 하시고! 그렇지 않다면 쑤시지 않게 바른 자세를 유지해줍시다. 오늘 여러분들께 알려드릴 내용은 변수의 심화과정이에요! 변수를 이전에는 하나의 상자라고 말씀드렸죠. 그 뜻은 여전하고, 이제는 거기에서 더 나아가 지역변수, 전역 변수, 매개변수, 인수에 대해서 공부를 해볼 예정이에요. 가장 먼저 알아 두어야 할 것. 변수의 심화과정을 알기 전에, 꼭 알아 두어야 할 내용이 있어요! 어떤 내용이냐면 메모리에 관해서 알아두는 것인데요. 여러분들이 변수를 선언해주고 초기화를 해주게 된다면 컴퓨터는 그러한 데이터를 메모리(RAM)에 저장하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yEtZ/btqCcWmVpMz/hDamGlSqWKIfDNLbCNcci0/img.jpg)
안녕하세요! 최고왕입니다 ㅎㅎ 오늘은 배열을 실제로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져볼 예정이에요! 바로 배열을 만드는 코드를 만들어 볼게요 ㅎㅎ 3가지의 타입이 들어가는 배열을 만들었어요! 각각의 단어가 이해 안 가실 수도 있으니 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1. 배열에 들어가는 데이터가 어떤 타입인지 컴퓨터에게 설명해주는 부분입니다. 여기서는 int형의 데이터가 들어가요! 2. 만들 배열의 이름을 정해주는 부분입니다! 여기서는 arr이 만든 배열의 이름이겠네요! 3. 배열의 크기를 설정해주는 부분입니다! 여기서는 배열의 크기가 5겠네요! 그럼 위쪽의 그림으로 돌아가면 int형 데이터가 들어가는 5의 크기를 가지는 arr이름의 배열. float형 데이터가 들어가는 5의 크기를 가지는 arr2이름의 배열. double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