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pringboot (22)
관심쟁이 영호
[#6-2 Spring Boot 정주행] View Path를 없애보자! ㅣ MVC 프레임워크 만들기 이전 포스팅에서 FrontController를 통해서 공통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View의 Path를 설정하는 부분과, Servlet에서 View & 또 다른 Servlet으로 넘겨주는 함수가 모든 컨트롤러에 적용된다는 것 bestkingit.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 문제점이 있었다. 문제는 - path에 "/WEB-INF/views/"와 ". jsp"의 중복 -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의 불필요한 사용 이번 포스팅에서 viewResolver를 통해서 위의 문제를 해결해볼 것이다. 목차 Model 추가 Controller 수정 FrontC..
이번에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몇 가지의 기술 들을 살펴볼 것이다. 목차 웹 기본 구조 서블릿 HTTP 웹 기본 구조 사용자와 서버로 나누어 생각해보자! 우리가 네이버에서 "뉴스" 버튼을 클릭하면 뉴스 화면으로 이동한다. 실제로 내부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다음을 보면서 이해해보자! 사용자가 "뉴스"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가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ex. naver.com/news) naver.com가 DNS를 거쳐 naver의 ip주소로 변경되어 보내진다. (ex. 192.123.123/news) 192.123.123/news 정보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http 메시지로 변경된다. naver의 서블릿 컨테이너로 해당 http 메세지가 도착한다...

인터셉터에서 세션 처리를 하는 도중에 문제가 생겼다. 지금까지 Controller에서 Model을 이용하여 view에 넣어주었는데, HandlerInterceptor의 postHandle에는 ModelAndView를 이용하는 것이다..(확장하면 되지만 있는 그대로를 이용하자!!) 똑같겠지 생각하며 addAttribute를 찾아보았지만 없다....(세션에 있는 User 정보를 넣고 싶다고!!) 그럼 ModelAndView로 Model에 데이터를 넣는 방법을 찾아보면서 Model과 ModelAndView를 확실히 다루어 볼 예정이다! 가장 먼저 알아둬야 할 것이 있다. Model, ModelAndView에서 Model이란 무엇인가? 다음 그림을 보자! (발로 그린 그림이다..) 그림을 보면 Controlle..

이번에는 "주문하기"에 대한 코드를 살펴보자. 주문하기는 Member, item, order 등등 모든 테이블과 엔티티가 엮어있기 때문에 조금더 생각을 해야한다! 어쨋든, 홈화면에서 주문하기 버튼을 클릭해보자. 그렇게 되면, localhost:8080/order로 넘어가게 된다. 화면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Controller에 매핑이 되어있을 것이다. 해당 url이 매핑되어 있는곳으로 가보자! ※ 주문 회원, 상품명을 클릭하면 리스트가 콥보박스처럼 드롭다운된다.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Controller { private final OrderService ord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Service..

이전 시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웹에서 데이터를 생성할 때를 살펴보자. 회원가입을 해보자. 위 그림과 같이 생성했다. "Submit" 버튼을 눌렀을 때, 어떤일이 일어날까!? - 먼저 해당화면을 구성하는 html을 살펴보자. 이름 Incorrect date 도시 거리 우편번호 Submit 위와 같이 구성되었다. 여기서 태그에 주목을 하면, "" 이렇게 코드가 짜여져 있다. 자세한 이해를 하고 싶다면, html의 form태그의 기능을 살펴보자! action 으로 "/members/new"라고 적혀있다. "/members/new"라고 매핑이 되어있는 곳으로 해당 폼정보를 던진다는 뜻이다. method는 폼정보를 post형태로 던진다는 뜻이다. 이렇게 던지면,..

이전 시간에는 웹사이트에서 요청했을때, 어떤방식으로 인식하고 넘어가는지 살펴보았다. 그럼 이번시간에는 회원가입을 했을때, 데이터가 어떻게 넘어가고 어떻게 내부에서 움직이는지 살펴보자. Spring이 시작이 되면, 테이블을 생성한다. 어디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라는 코드가 있을까?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JPA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JPA에 대한 지식은 다른 글에 있다. https://bestkingit.tistory.com/106 Spring Boot ㅣ JPA, ORM에 관해서 ORM? ORM은 Object Relational Mapping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모델링하여 자바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클래스로 바꿔주는 것이다!! 거꾸로도 가능하다! ]ORM를 알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