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딩 (50)
관심쟁이 영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b3X6/btqMdDL7Urc/FpsMEqjxUnZSkPgYvXkBu0/img.jpg)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 여러분들과 공부해볼 내용은 프레임과 지연시간 그리고! 영상파일에 임의의 조작을 해볼 예정이에요. 프레임이란? 나무위키에서 가져올게요!(인용해도되려나..?) 프레임 = 움직임을 이루는 하나의 동작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의 움직임 중, 하나의 동작을 지정할때 사용하는 말. 2D게임이 이식될 때 움직임을 이루는 그림 중 몇 장을 삭제했을 땐 '프레임이 잘렸다'고 표현하고, 애니메이션에서는 실제 영상이 24프레임이든 29.97프레임이든, 초당 동작 그림 숫자가 8장일 때는 '초당 8프레임의 움직임'이라고 표현한다. 3D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입장에서 움직임에 영향을 행사하는 포즈를 '키 프레임'이라고 표현한다. 플래시 등, 영상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에서라면 필수적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jfHA/btqMdiIbndZ/IJi2vp5bYXYWnSea2Rlkz1/img.jpg)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은 OpenCV에 관해서 공부를 해볼 예정입니다! 바로 보시죠. 오늘의 주제는 이미지 파일, 영상파일을 읽어오는 겁니다. 영상처리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이미지 파일 이미지 파일은 앞서 우리가 공부했던 Mat타입의 행렬을 이용하면 아주 쉬워요! 2차 원창에 행렬로 된 데이터를 띄워주면 그것이 바로 이미지인데요! 실제 우리가 사용하는 jpg, png 이런 값들도 18 12 15 16 19 13 89 88 89 12 10 87 67 88 33 23 92 86 88 21 13 13 16 21 1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AMSX/btqLYM30olR/qLqkwCk4ZD75aOBB1Q332k/img.jpg)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은 시스템 보안에서 권한 관리! Data Base입니다! 내용이 다소 짧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ㅎㅎ 1. 질의문에 대한 권한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권한 관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베이스의 질의문을 먼저 살펴보아야 할 듯합니다! (1) DDL DDL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질의문이에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 CREATE : DB 객체를 생성합니다. - DROP : DB 객체를 삭제합니다. - ALTER : 이미 생성된 객체를 다시 정의합니다. (2) DML DML은 데이터 베이스의 운영과 사용에 사용되는 질의문이에요! 4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 SELECT : 사용자가 테이블이나 뷰를 선택합니다! - INSERT : 객체에 데이터를 넣습니다.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3q29/btqL3uOuRJP/YxUkKSwS0yOO6PZZXWeWV1/img.jpg)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은 권한관리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바로 보시죠. 권한관리는 한마디로, 시스템 접근 성공 후! 저장 정보의 접근 통제 또는 시스템 조작 명령의 사용권한을 통제하는 것인데요. 운영체제의 권한관리 -Window의 권한 관리 윈도우는 NTFS를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합니다! NTFS에서 그룹 또는 개별 사용자에게 설정할 수 있는 종류로는 기본적으로 6가지가 있어요! (1) 모든권한 :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 소유권을 변경하고 하위 디렉터리를 삭제할 수 있어요! (2) 수정 : 삭제, 읽기, 실행, 쓰기 권한이 있어요! (3) 읽기 및 실행 : 읽기, 파일 옮기기를 할 수 있어요. (4) 디렉터리 내용 보기 : 디렉터리나 속의 파일의 이름을 볼 수있어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PAYw/btqLYNIwKci/ZRxHf6Lg7bAKFTrDsV0H2K/img.jpg)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은 시스템 보안의 3번째 시간인데요! 바로 보시죠. 1. 세션관리 세션이란,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 활성화된 접속"을 뜻해요! 한마디로 여러분들이 페이스북을 이용하시다가 카카오톡을 잠시 사용하고 다시 페이스북을 켜면 봤던 그대로 남아있잖아요!? 그때는 세션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페이스북을 끄지 않은 채로 홈버튼만 눌른다음 하루가 지나서 다시 확인하면 처음 그대로 갑니다! 이건 세션이 만료되었기 때문이에요. 운영체제도 똑같이 동작을 하는데요! - 윈도에서 예를 들면 화면 보호기입니다. - 유닉스에서는 화면 보호기가 따로 있지 않고, 다시 재접속을 요구합니다. - 데이터 베이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세션 타임아웃이 없어요! 2. 접근제어 이것은 저번 글과 비슷하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xvyj/btqLW8l7NwR/4b1VIkklKrHqHk8PvPZFu1/img.jpg)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부터 시스템 보안에 대해서 공부를 할 예정입니다. 바로 시작하시죠. 이 글은 "정보보안개론"(양대일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1. 시스템의 보안 시스템 보안의 핵심은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파일, 폴더,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제한하는것이 핵심이에요! 6가지의 주제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는데요! 살펴보겠습니다. (1) 계정관리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관리합니다. (2) 세션관리 일정한 시간이나 일정 조건이 만족되면 세션을 종료하여 비인가자의 세션 가로채기를 통제합니다. (3) 접근 제어 네트워크 관점에서 허락을 받은 인가자만 접근가능하도록 통제하는 것입니다. (4) 권한 관리 각 사용자에게 정보 자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적절한 권한을 주어 통제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