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관심쟁이영호 (63)
관심쟁이 영호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변경감지와 병합 이것에 대해서 알기전에, 왜 이것을 배우느냐? 실제로 웹에서 스프링 JPA를 이용하면 이러한 구조가 될 것이다. - 위와 같은 구조이다. - 웹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변경하면, 폼을 통해서 코드로 넘어온다. form 객체로 넘어온 데이터를 영속성 컨텍스트로 넘겨주어야 한다. 여기서 문제이다. 먼저 여러가지 방법을 보자. /** * 상품 수정 */ @PostMapping(value = "/items/{itemId}/edit") public String updateItem(@ModelAttribute("form") BookForm form) { Book book = new Book(); book.setId(form.getId()); book.setName(form.ge..

오늘은 이전에 만들었던 코드부분을 직접 html을 만들고, css를 적용하고 실제로 동작을 시켜볼 예정이다. html, css수업이 아니기 때문에 코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셨다. 먼저 html과 css를 적용해야한다. 필요한 부분은 회원 가입, 회원 목록, 상품 등록, 상품 목록, 상품 주문, 주문 내역이다. 약간의 코드는 생략한다. 1. html 매칭시켜주기. //home Controller @Controller @Slf4j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RequestMapping("/") public String home(){ log.info("home controller"); return "home"; } } - @RequestMapping("/") 이렇게 작성하면, 기본 ..

이전 포스팅에서는 회원 도메인을 완성했고, 테스트까지 완료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품 도메인을 할 예정이다. 1. 상품 도메인 기능 및 개발 순서 (1) 기능 - 상품 등록 - 상품 목록 조회 - 상품 수정 (2) 순서 상품 엔티티 개발(비즈니스 로직 추가) -> 상품 리포지토리 개발 -> 상품 서비스 개발, 상품 기능 테스트 이렇게 될 예정이다. 2. 구현 시작. (1) ItemRepository 생성 // ItemRepository.class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Item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void save(Item item){ if(item.getId() =..

아키텍처를 살펴보면 Controller와 Repository를 연결해주는 Service가 필요하다. 1. Service Pakage를 생성한다. 코드를 입력해준다. // MemberService.class //Repository와 똑같이 @Conponent를 가지고 있다. 똑같이 spring Component scan 단계를 거치도록 하기 위함인 듯 하다.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데이터 변경은 기본적으로 트랜잭션안에 있어야 한다. @RequiredArgsConstructor // 자동 주입 public class MemberService { //@Autowird를 추가한다면, //EntityManager의 @PersistenceContext와 똑같이 ..

1. 구현 기능 - 회원 등록 - 회원 목록 조회 2. 구현 순서 - 회원 엔티티 코드 다시 보기 - 회원 리포지토리 개발 - 회원 서비스 개발 - 회원 기능 테스트 순서는 이렇게 할 것이다. 실무에서 하는 방법대로 하신다고 하시니, 숙지해두면 좋을 순서일 것이다. 1. 회원 리포지토리 구현 리포지토리는 이전에 포스팅한 글에서 언급했듯이, DB에 JPA기술을 사용하여 직접 접근하는 것이다. 회원 리포지토리라 함은, DB에 저장되어있는 회원정보를 GET, SET하는 기능이 있을 것이다. - repository pakage를 생성한다. - repository pakage에 MemberRepository를 생성했다. - 그리고 코드를 넣는다. // MemberRepository.class //스프링에게 이것이..

1. 사용자와 그룹 - 리눅스는 여러명이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 root는 Super User(대장) - 모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 - 사용자는 /etc/passwd 파일에 정의 - 사용자 정보 의미 ex) root : x : 0 : 0 : root : /root : /bin/bash root = 사용자 이름 x = 암호 0 = ID 0 =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ID root = 추가 정보 /root = 홈 디렉터리 /bin/bash = 기본 셀 - 기본 사용자 "우분투"의 정보 ubuntu:x:1000:1000:ubuntu,,,:/home/ubuntu:/bin/bash -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etc/password 파일에 정의 - 그룹은 /etc/group 파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