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관심쟁이영호 (63)
관심쟁이 영호

이제부터는 모든 코드를 하나하나 뜯어보고, 어떤일이 일어나있는 지, 왜 그렇게 되는지 완벽하게 분해분석을 할 예정이다. 1. H2 서버를 시작해주고, 프로젝트를 실행해준다. - 해당 내용에 대한 설정은, application.yml에 표시되어 있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 여기서 url로 설정되어 있다. 2. url : localhost:8080으로 접속해준다. 그럼 홈화면이 뜬다. - 왜 localhost:8080인가? 이 이유는 yml에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yml에 server.port에 대한 설정이 없으면 ..

오늘은 Ajax에 대해서 공부를 할 예정이다. Ajax란?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에이잭스)는 비동기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을 위해 아래와 같은 조합을 이용하는 웹 개발 기법이다. 표현 정보를 위한 HTML (또는 XHTML) 과 CSS 동적인 화면 출력 및 표시 정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DOM, 자바스크립트 웹 서버와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조작하기 위한 XML, XSLT, XMLHttpRequest (Ajax 애플리케이션은 XML/XSLT 대신 미리 정의된 HTML이나 일반 텍스트, JSON, JSON-RPC를 이용할 수 있다) DHTML이나 LAMP와 같이 Ajax는 자체가 하나의 특정한 기술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함께 사용하는 기술의 묶음을..

오늘부터 HTML을 공부할 것이다. 웹 기초라고 보면 된다. HTML은 건물을 짓을 때, 기초 골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당 포스팅은 유튜브의 ZeroCho님을 보고 포스팅한 것이다. HTML 공부 다음에는 CSS공부를 할 것이다. 두 공부는 초중급정도만 해둘 생각이다. 목표는 1~2주만에 모든 것을 공부하고 자바스크립트로 넘어가는 것이다. 화이팅! 아 참고로 html은 본 내용은 엄청 대충 다룰 예정이다..

스프링 공부를 해본 적이 있다면, 누구나 연관관계에 대해서 고민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오늘은 그 연관관계가 어떤 것인지 살펴볼 예정이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어떠한 게시판의 게시글의 예시이다. 작성자: 홍길동은 User Table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내용은 Board Table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댓글은 Reply Table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JPA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DB에서 JOIN을 이용하여 조회를 한다음 해당하는 데이터를 게시판에 뿌려주는 방식을 사용했을 것이다. 여기서 훨씬 편리하게 JPA기술을 사용할 수가 있다. JPA를 사용하면 우리가 Board에만 조회쿼리를 날려도 다 나온다. 흐름을 보면 SELECT * FROM Board Where Id = 1;..

이번엔 Reply 클래스를 생성했다. 이 코드가 완성되면 DB에 Reply Table이 생성된다. 코드를 보자! // Reply.java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Builder @Entity //User 클래스가 스프링이 시작할 때, MySQL에 테이블을 생성한다. public class Repl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int id; // 시퀀스, auto_increment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200) private String content; @ManyToOne @JoinColumn(name = "boardi..

이번엔 Board Table을 생성해보자. 먼저 코드를 살펴보면 // Board.java @Entity public class Board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auto_increment private int id;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100) private String title; @Lob // 대용량 데이터용 private String content; // 섬머노트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디자인할 때, 태그가 섞여서 디자인이 됨 @ColumnDefault("0") private int count; //조회수 //글쓴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id값을 통해서 Select를 한번더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