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pring (28)
관심쟁이 영호
이번에 새롭게 구상한 프로젝트를 실시할 예정이다.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보자! SSP - Search Shop & Price 해당 프로젝트는 이미지 검색, 최저가 검색을 구현하는 서비스이다. 목적 이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친구가 특이한 스타일의 옷을 찾고있었다. 친구가 검색한 검색어는 "등에 지퍼가 있는 후드티"였다. 나올리가 있나... 많이 답답해보였다. 생각해보니까 나 또한 같은 문제로 검색에 어려움을 느낀적이 있다. 개발해보자! 전체적으로 어려울 것이라 생각되어 덜컥 겁이 났다. 근데 "세상 살다 보면 이것보다 어려운 문제들이 많은데 이것도 성공하지 못하면 다른 문제는 어쩔래? 라는 생각이 들어, 바로 개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론으로 돌아가 목적을 다시 이야기..
[#6-2 Spring Boot 정주행] View Path를 없애보자! ㅣ MVC 프레임워크 만들기 이전 포스팅에서 FrontController를 통해서 공통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View의 Path를 설정하는 부분과, Servlet에서 View & 또 다른 Servlet으로 넘겨주는 함수가 모든 컨트롤러에 적용된다는 것 bestkingit.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 문제점이 있었다. 문제는 - path에 "/WEB-INF/views/"와 ". jsp"의 중복 -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의 불필요한 사용 이번 포스팅에서 viewResolver를 통해서 위의 문제를 해결해볼 것이다. 목차 Model 추가 Controller 수정 FrontC..
이전 포스팅에서 FrontController를 통해서 공통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View의 Path를 설정하는 부분과, Servlet에서 View & 또 다른 Servlet으로 넘겨주는 함수가 모든 컨트롤러에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번 포스팅은 View Path 중복 코드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이전 포스팅의 코드를 계속해서 사용할 예정이다. [#6 Spring Boot 정주행] MVC 프레임워크를 직접 만들어보자 이전에 포스팅한 글에서 서블릿 dispatcher를 통해서 JSP를 반환하는 것까지 성공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문제들을 짚어보고 하나씩 해결해보면서 MVC 프레임워크를 만 bestkingit.tistory.com 목차 전략 코드 적용 Fr..
이전에 포스팅한 글에서 서블릿 dispatcher를 통해서 JSP를 반환하는 것까지 성공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문제들을 짚어보고 하나씩 해결해보면서 MVC 프레임워크를 만들어보는 과정을 가질 것이다. (참고로 Spring 또한 해당 역사를 밟아오면서 발달한 것이다!) [#5 Spring Boot 정주행] HTTP로 HTML을 응답해보자! 이번 시간에는 서버를 만들어서 html을 리턴해보자! 먼저 서버를 만들자. 다음에 나오는 코드는 이전 시간에 했던 프로젝트에서 계속 유지한다. [#3 Spring Boot 정주행]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bestkingit.tistory.com 목차 문제점 FrontController Fron..
이번 시간에는 서버를 만들어서 html을 리턴해보자! 먼저 서버를 만들자. 다음에 나오는 코드는 이전 시간에 했던 프로젝트에서 계속 유지한다. [#3 Spring Boot 정주행]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이용해보자! ㅣ 서블릿 체험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서블릿을 코드로 직접 확인하자! 목차 프로젝트 생성 HttpServletRequest 확인 HttpServletResponse 확인 프로젝트 생성 스프링으로 시작할 것이다. 1. 스프링 부트 프로젝 bestkingit.tistory.com @WebServlet(name = "ServletTest", urlPatterns = "/servlet") public class HttpServletTest ..
이번에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몇 가지의 기술 들을 살펴볼 것이다. 목차 웹 기본 구조 서블릿 HTTP 웹 기본 구조 사용자와 서버로 나누어 생각해보자! 우리가 네이버에서 "뉴스" 버튼을 클릭하면 뉴스 화면으로 이동한다. 실제로 내부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다음을 보면서 이해해보자! 사용자가 "뉴스"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가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ex. naver.com/news) naver.com가 DNS를 거쳐 naver의 ip주소로 변경되어 보내진다. (ex. 192.123.123/news) 192.123.123/news 정보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http 메시지로 변경된다. naver의 서블릿 컨테이너로 해당 http 메세지가 도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