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http (5)
관심쟁이 영호
살아오면서 한 번쯤은 HTTP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오늘은 그렇게 들어보았던 HTTP에 대해서 공부를 해볼 것이다! 목차 URI? URL? HTTP? HTTP 시작 라인 HTTP Method? HTTP Status? HTTP Header? URI? URL? URN? URI, URL, URN과 같은 단어도 분명 한번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먼저 위키백과에서 나온 설명을 보자! URL URL은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즉, 컴퓨터 네트워크와 검색 메커니즘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웹 리소스에 대한 참조이다. 쉽게 말해서, 웹 페이지를 찾기위한 주소를 말한다. URN URN은 urn:scheme 을 사용하는 URI를 위한 역사적인 이름이다. URN은 영속적이고..
이번에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몇 가지의 기술 들을 살펴볼 것이다. 목차 웹 기본 구조 서블릿 HTTP 웹 기본 구조 사용자와 서버로 나누어 생각해보자! 우리가 네이버에서 "뉴스" 버튼을 클릭하면 뉴스 화면으로 이동한다. 실제로 내부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다음을 보면서 이해해보자! 사용자가 "뉴스"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가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ex. naver.com/news) naver.com가 DNS를 거쳐 naver의 ip주소로 변경되어 보내진다. (ex. 192.123.123/news) 192.123.123/news 정보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http 메시지로 변경된다. naver의 서블릿 컨테이너로 해당 http 메세지가 도착한다...

http에서 값을 주고 받는 방법은 많다. 오늘은 값을 주고 받는 연습을 할 예정이다. 가장먼저 Get부분 부터다! Get으로 값을 주고 받는다는 뜻은, 우리가 URL에다가 이렇게 입력을 할 수 있다. -> http://localhost:8080/http/get?id=1&password=123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될 부분은 get 다음부터다. id=1, password=123으로 값을 넘겨주었고, 자바코드에서 해당하는 값을 받을 수 있다. 그럼 어떻게 받아야하나? 그 방법은 아래 코드를 보자. // Get //인터넷 브라우저 요청은 무조건 Get 요청만 할 수 있다. // http://localhost:8080/http/get?id=1&password=123 (select) @GetMapping("/h..
Get - 데이터 주세요 -> SELECT Post - 데이터 추가해주세요 -> INSERT Put - 데이터 수정해주세요 -> UPDATE Delete - 데이터 삭제해주세요 -> DELETE 추가적인 정보는 어떻게 해야하나? Get 요청을 사과라고 했을 때, 어디어디에 있는 사과를 줘! 라고 설정가능하다. Post도 마찬가지. Stateless 요청 시 마다 스트림을 연결하고, Data를 주고 받는 방식 응답하고나서, 끊어버린다. 서버의 부하를 줄여주기 위한 방식! Statefull 응답하고나서 연결을 끊어버리지 않고, 계속 연결한다. -> 세션도 알아야함! 인증 후 세션생성한다. 여기서 Stateless를 사용안하는 이유는 서버와 계속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경우, 계속 연결을 시작하고 끊고하면 오..

안녕하세요! 관심쟁이 영호입니다. 오늘은 시스템 보안에 대해서 공부를 할게요! 오늘 저희가 볼 내용은 HTTP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공부를 해볼겁니다. HTTP에 대해서 공부하기전에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야하는데요. 여기서 프로토콜이란, "프로토콜(Protocol)은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칙이다."이라고 네이버에 나와있습니다! 이러한 프로토콜도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FTP, Telnet, SMTP, POP, HTTP 등이 있어요! 이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프로토콜은 HTTP이랍니다. HTTP란? HTTP는 웹통신 프로토콜이고,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텍스트, 그래픽, 애니메이션, 사운드를 프로그램에 접근해서 재생할 수가 있어요! HTTP 동작원리 먼저 그림으로 살펴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