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심쟁이 영호
JAVA ㅣPrivate? ㅣ변수에 Private를 설정하는 이유? 본문
반응형
코딩을 하다보면, public이라는 단어를 가장 먼저 사용했을 것이다.
근데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면
private를 자주 볼 수 있다.
얼핏 공부하기로는 public은 모든 곳에서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근데 왜 굳이 코딩이 힘들게 private를 설정해두었을까??
그것은 객체지향적 설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코드를 예시로 살펴보자!
Member 객체로 생성된 bob이라는 사람이 있다.
state는 배고픔의 상태이다.
배고픔의 상태가 50보다 낮다면, 배를 채우라는 의미로 +10을 해주었다.
객체지향 관점에서는 타객체의 변수에 접근할 때, 변수에 바로 접근하면 안된다.
이 코드를 객체지향 관점으로 해보자.
Member 객체에 eat() 이라는 함수를 생성하였다.
eat 함수의 내용으로 state +10을 해주도록 하였다.
그리고 메인함수로 돌아와서
bob.eat()으로 함수를 호출하여 bob의 배고픔을 채워주었다.
이렇게 코드를 짜야한다.
그러면
왜 객체지향적으로 코드를 짜야할까?
1. 많은 사람과 협업을 할 때, 이러한 함수를 지정해두면 아주 편하다.
2. 객체 지향적이라면, 각 객체마다 모든 기능을 다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아직 더 많은 설명을 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어쨋든,
객체지향적으로 코드를 짜야 더 편하고 더 좋고 돈도 덜 들기 때문일 것이다.
300x250
'학교공부 > 자바의 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인터페이스 ㅣ Interface (1) | 2021.05.22 |
---|---|
[JAVA]추상클래스와 추상메서드에 대해서! ㅣ Abstract (0) | 2021.05.21 |
[Callback Method] 콜백함수? ㅣ 자바에서는 어떻게 써야할까? (0) | 2021.03.24 |
JAVA - int to String ㅣ double to String ㅣ float to String ㅣ 정수 -> 문자열 ㅣ double -> 문자열 ㅣ float -> 문자열 (0) | 2020.12.01 |
JAVA - String to int ㅣ 문자열 -> 정수 ㅣ ParseInt (0) | 2020.11.30 |
Comments